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와 여자 축구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남자 축구는 6개 조, 여자 축구는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팀들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경기장으로는 웨슈산 경기장, 톈허 체육장 등 여러 경기장이 사용되었다. 일본은 남자 및 여자 축구 모두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회 기간 중 센카쿠 열도 관련 사건으로 인해 일본 대표팀 관련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경기는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되었고, 일본이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 |
---|---|
대회 개요 | |
종목 | 축구 |
대회 | 2010년 아시안 게임 |
경기장 | 화두 스타디움 잉둥 스타디움 광둥 인민 스타디움 황푸 스포츠 센터 웨슈산 스타디움 광둥 올림픽 스타디움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대학 도시 스타디움 |
날짜 | 2010년 11월 7일 – 25일 |
참가 선수 | 602명 |
참가 국가 | 24개국 |
이전 대회 | 2006년 |
다음 대회 | 2014년 |
남자 축구 | |
금메달 | 일본 |
은메달 | 아랍에미리트 |
동메달 | 대한민국 |
참가팀 수 | 24팀 |
경기 수 | 52 |
득점 | 135 |
득점왕 | 나가이 겐스케 (5골) |
여자 축구 | |
금메달 | 일본 |
은메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동메달 | 대한민국 |
참가팀 수 | 7팀 |
경기 수 | 13 |
득점 | 41 |
득점왕 | 지소연 (5골) |
2. 경기장
도시 | 구 | 경기장 | 원어명 | 로마자 | 수용 인원 | 개최 경기 | 주석 |
---|---|---|---|---|---|---|---|
광저우 | 웨슈 | 웨슈산 경기장 | 越秀山体育场 | Yuexiushan Stadium | 30,000 | 남자 C조, 결승 토너먼트 | [13] |
웨슈 | 광둥 성 인민체육장 | 广东省人民体育场 | Guangdong Provincial People's Stadium | 27,096 | 남자 B조, 남자 F조, 결승 토너먼트 여자 조별 리그 | [14] | |
톈허 | 톈허 체육장 | 天河体育场 | Tianhe Stadium | 56,000 | 남자 A조, 결승 토너먼트 여자 결승 토너먼트 | [15] | |
황푸 | 황푸 중심체육장 | 黄埔中心体育场 | Huangpu Sports Center | 10,000 | 남자 F조, 결승 토너먼트 여자 A조, 여자 B조 | [16] | |
판위 | 대학성중심구경기장 | 大学城中心区体育场 | University Town Main Stadium | 50,000 | 남자 B조, 결승 토너먼트 여자 A조, 여자 B조 | [17] | |
판위 | 잉둥 체육장 | 英东体育场 | Yingdong Stadium | 14,818 | 남자 C조, 남자 D조, 남자 E조 | [18] | |
화두 | 화두 체육장 | 花都体育场 | Huadu Stadium | 13,395 | 남자 A조, 남자 D조, 남자 E조 | [19] | |
톈허 | 광둥 올림픽 스타디움 | 广东奥林匹克体育中心중국어 | Guangdong Olympic Stadium | 80,012 | 남자 결승전 |
- '''참고:''' 광둥 성 인민체육장, 잉둥 체육장, 화두 체육장은 남자 경기에서만 사용되었다. 광둥 올림픽 스타디움은 남자 결승전 경기에만 사용되었다.




3. 참가 팀 및 경기 결과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의 개막 경기는 개회식 5일 전인 11월 7일에 시작되었다. 남자 축구에는 24개국, 여자 축구에는 7개국이 출전했다. 남자부는 23세 이하 선수로 구성되며, 팀당 최대 3명의 와일드카드 선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자부는 연령 제한 없이 진행된다. 경기구는 대한민국의 스타스포츠에서 제작한 '뉴 폴라리스 3000'이 사용되었다. 모든 킥오프 시간은 현지 시간(UTC+8) 기준이다.
팀 스포츠의 조 추첨식은 2010년 10월 7일 중국 광저우에서 열렸다.[12] 시드 배정은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최종 순위를 기준으로 하였다.
남자부24개 팀이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렀다. 이라크는 조 추첨 직후 기권하여 파키스탄이 대체 참가했다. 쿠웨이트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징계로 인해 쿠웨이트 선수단(IOC 선수단) 자격으로 참가했다. 결선 토너먼트에는 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상위 4개 팀이 16강에 진출했다.
'''조 편성'''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
중국 | 이란 | 대한민국 | 카타르 | 우즈베키스탄 | 태국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팔레스타인 | 쿠웨이트 선수단 | 아랍에미리트 | 몰디브 |
키르기스스탄 | 바레인 | 요르단 | 인도 | 홍콩 | 오만 |
일본 | 투르크메니스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싱가포르 | 방글라데시 | 파키스탄 |
'''조별 예선 결과'''
- A조
- 11월 8일: 말레이시아 2-1 키르기스스탄, 중국 0-3 일본
- 11월 10일: 말레이시아 0-2 일본, 중국 2-1 키르기스스탄
- 11월 13일: 중국 3-0 말레이시아, 키르기스스탄 0-3 일본
- B조
- 11월 8일: 베트남 3-1 바레인, 이란 4-1 투르크메니스탄
- 11월 10일: 베트남 2-6 투르크메니스탄, 이란 1-0 바레인
- 11월 13일: 바레인 1-1 투르크메니스탄, 이란 1-0 베트남
- C조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 | 3 | 3 | 0 | 0 | 7 | 0 | +7 |
2 | 대한민국 | 6 | 3 | 2 | 0 | 1 | 7 | 1 | +6 |
3 | 팔레스타인 | 1 | 3 | 0 | 1 | 2 | 0 | 6 | -6 |
4 | 요르단 | 1 | 3 | 0 | 1 | 2 | 0 | 7 | -7 |
- 11월 8일: 대한민국 0-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리광천 36'), 팔레스타인 0-0 요르단
- 11월 10일: 대한민국 4-0 요르단 (구자철 21', 44', 김보경 46', 조영철 78'), 팔레스타인 0-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1월 13일: 대한민국 3-0 팔레스타인 (윤빛가람 10', 박주영 13', 박희성 52'), 요르단 0-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D조
- 11월 7일: 쿠웨이트 선수단 2-0 인도, 카타르 0-0 싱가포르
- 11월 9일: 카타르 2-1 인도, 쿠웨이트 선수단 2-0 싱가포르
- 11월 11일: 인도 4-1 싱가포르, 카타르 2-0 쿠웨이트 선수단
- E조
- 11월 7일: 우즈베키스탄 3-0 방글라데시, 아랍에미리트 1-1 홍콩
- 11월 9일: 아랍에미리트 3-0 방글라데시, 우즈베키스탄 0-1 홍콩
- 11월 11일: 홍콩 4-1 방글라데시, 우즈베키스탄 0-3 아랍에미리트
- F조
'''각 조 3위 팀 순위''' (상위 4팀 16강 진출)
'''결선 토너먼트'''
- 16강전
- 11월 15일: 이란 3-1 말레이시아, 오만 3-0 홍콩, 카타르 0-1 우즈베키스탄 (연장), 중국 0-3 대한민국 (김정우 20', 박주영 50', 조영철 58')
- 11월 16일: 일본 5-0 인도, 투르크메니스탄 0-1 태국 (연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 베트남, 아랍에미리트 2-0 쿠웨이트 선수단
- 8강전
- 11월 19일: 일본 1-0 태국, 이란 1-0 오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0 아랍에미리트 (연장, 승부차기 8-9), 우즈베키스탄 1-3 대한민국 (연장, 홍정호 3', 박주영 93', 김보경 102' / 카리모프 72')
여자부7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렀다. 인도는 조 추첨 직전 기권했다. 각 조 1, 2위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조 편성'''
'''조별 예선 결과'''
- A조
4. 논란
남자 1차 리그 A조의 중국 대 말레이시아 경기에서는 말레이시아 선수가 3명이나 퇴장당하는 일이 있었다.
4. 1. 남자 일본 대표팀 관련 논란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의 여파로 AFC U-19 챔피언십 2010에서 중국 내 반일 감정이 고조된 상황에서 대회가 치러졌다. 이 때문에 중국 경찰관 20명이 경비를 맡는 등 엄중한 경계 태세가 유지되었다. 현지 일본 대사관과 중국 공안 당국은 협력하여, 만약 일본이 중국에 승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중국인들의 소요 사태에 대비해 선수, 관계자, 서포터의 피난 시뮬레이션까지 진행했다. 일본 국기나 현수막 반입이 금지되었고[4], 관중석에서 중국인 서포터를 촬영하는 행위도 금지되었다. 인터넷에서는 한일전 관련 검색이 규제되기도 했다[5]. 광저우 주재 일본 총영사관과 광저우 일보는 관중들에게 야유나 소란 행위를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11월 6일 열린 대표자 회의에서는 경기 전날 공식 연습 시 스파이크와 공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대회 조직위원회는 "잔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이유를 밝혔으나, 일본 측의 항의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일본 선수들은 익숙하지 않은 경기장에서 공의 감각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채 경기에 임해야 했다[6]. 같은 날, 시교이 제2 중학교에서 진행된 첫 연습에서도 학교 앞 도로가 봉쇄되고 인근 상점들이 문을 닫았으며, 경기장 주변에는 군복 차림의 경비원이 배치되는 등 삼엄한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선수단뿐만 아니라 공, 스파이크까지 금속 탐지기 검사를 받아야 했다[7].
11월 8일 열린 일본과 중국의 경기에서는 일본 국가 제창 시 중국 관중석에서 큰 야유가 터져 나왔다. 일부 관중은 기립하지 않아 경찰이 제지하며 기립시키는 모습도 보였다. 또한 일부 중국인 서포터가 일본인 서포터에게 욕설을 하는 일도 발생했다[8].
경기 당일 경비는 더욱 강화되어, 경기장 근처에 무장 경찰 등 수천 명이 배치되었고 장갑차와 총기를 든 특수 부대가 경기장 입구를 지켰다. 일본인 관람 구역에는 경찰이 벽을 만들어 분리했으며, 취재진의 카메라 검사도 철저하게 이루어졌다. 일본인 서포터들은 별도의 상업 빌딩에 모였다가 주최 측이 마련한 버스로 경기장에 입장했고, 중국 관중이 모두 퇴장한 후에야 경기장을 나설 수 있었다[9].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약 5만 2천 명이었으나, 약 2만 장만 판매되었다. 판매되지 않은 표 중 일부는 사복 경찰이나 '모범 관중'으로 동원된 인원에게 배분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학생들은 동원 사실을 숨기기 위해 학교 이름이 적힌 유니폼을 입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사실이 인터넷을 통해 알려지기도 했다. 경비 책임자는 "다른 경기장과 다르지 않으며 특별한 태세를 취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문제 발생을 막기 위해 다양한 조치가 취해졌다[10].
한편, 당시 일본 A대표팀 감독이었던 알베르토 자케로니는 경기를 관전했지만, 통상 대표팀 감독에게 제공되는 VIP석이 아닌 일반석에 앉아야 했다[11].
5.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 일본 (JPN) | 2 | 0 | 0 | 2 |
2 | -- 아랍에미리트 (UAE) | 0 | 1 | 0 | 1 |
2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PRK) | 0 | 1 | 0 | 1 |
4 | -- 대한민국 (KOR) | 0 | 0 | 2 | 2 |
합계 | 2 | 2 | 2 | 6 |
6. 메달리스트
(세부 정보)
마스다 타쿠야
사네토 유키
소노다 준
토마 타케후미
히가 유스케
카마타 쇼마
야마자키 료헤이
야마무라 카즈야
쿠로기 마사토
미즈누마 코타
나가이 겐스케
스가누마 슌야
스즈키 다이스케
오츠카 쇼헤이
히가시 케이고
야마구치 호타루
노보리자토 쿄헤이
안도 슌스케
쿠도 마사토
토미야마 타카미츠
알리 카시프
사드 수루르
압둘라 무사
아메르 압둘라흐만
알리 알-암리
모하메드 알-셰히
함단 알-카말리
아흐메드 알리
데이아브 아와나
아흐메드 칼릴
압델아지즈 산쿠르
사에드 알-카티리
아델 알-호사니
모하메드 파우지
모하메드 아흐메드
압둘아지즈 하이칼
아흐메드 마흐무드
모하메드 자말
하부시 살레
오마르 압둘라흐만
김승규
홍철
신광훈
김주영
김영권
홍정호
구자철
윤빛가람
박희성
박주영
조영철
김민우
장석원
김정우
오재석
서정진
윤석영
지동원
김보경
이범영
(세부 정보)
야마고 노조미
이와시미즈 아즈사
야노 교코
킹가 유카리
사메시마 아야
사카구치 미즈호
카미오노베 메구미
미야마 아야
키타모토 아야코
사와 호마레
오노 시노부
카이호리 아유미
쿠마가이 사키
야마구치 마미
오사후네 카나
카와스미 나오미
나카노 마나미
타카세 메구미
홍명희
김경화
최영심
송정순
로철옥
호은별
조윤미
리예경
김영애
라은심
리은경
김충심
윤현희
유정희
존명화
조윤미
정복심
콩혜옥
전민경
심서연
이은미
김도연
홍경숙
유지은
권하늘
박은정
박희영
지소연
김수연
문소리
전가을
권은솜
김나래
유영아
차연희
김혜리